Netlify로 배포를 하고 나면 .netlify.app 으로 끝나는 도메인을 제공해주긴 하지만 좀 더 개인적인 도메인을 사용하고싶어서 도메인을 연결하고자 한다.
Netlify로 프로젝트 배포는 완료한 이후에 진행한다.
배포한 프로젝트의 대시보드에서 Domain Settings로 들어간다.
Netlify의 배포 설정 페이지에서 Domain Managment를 클릭하고 Add custom domain 을 클릭한다.
본인이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Verify 클릭
도메인을 입력하고 나면 DNS 설정을 체크하라는 메세지가 뜬다.
해당 링크들을 각각 클릭해서 알려주는대로 설정한다.
링크를 눌러보면 다음과 같이 안내 창이 뜬다.
도메인의 dns 설정에서 해당 레코드를 추가하라는 내용이다.
나는 구글 도메인을 통해서 도메인을 구매했으므로 구글 도메인 설정으로 이동한다.
도메인 관리의 DNS에서 리소스 레코드에 netlify에 나온대로 레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
나는 A와 CNAME을 추가했다.
약간의 시간을 두고 기다리면 HTTPS 인증서도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설정을 끝내면 아까 떴던 워닝 메세지가 더이상 뜨지 않는다.
HTTPS 인증도 자동으로 되는데 바로 되지는 않고 약간 기다려야 한다. 나는 한 3분정도 기다리고 새로고침 하니까 잘 됐다.
설정한 도메인으로 접속해보면 배포한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잘 뜨는것을 볼 수 있다!
만약 비공개 설정이라던가 그런 경고 창이 뜨는거라면 https 인증이 되지 않은것이니 조금 기다린 후에 다시 시도해보면 될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