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리액트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인 리덕스를 공부중입니다.
공식문서가 매우 잘 되어 있어서 공식문서의 튜토리얼을 차근차근 따라 해 보던 중 문서에 종종 빠진 부분이 있어 삽질을 오지게 하고나서
다른 분들은 이와 같은 상황을 겪지 않길 바라며 글을 씁니다.
리덕스는 공식 문서가 매우 잘 되어 있어서 공식문서만 보고도 충분히 익힐 수 있습니다. ( 한글이 없다는 거부감을 넘어서기만 한다면)
저는 Quick Start를 먼저 읽고, Redux 핵심 튜토리얼을 하나씩 진행 중입니다.
문서를 보며 따라 할 수 있게 기본적인 틀이 잡힌 프로젝트를 제공 해주고
그 프로젝트에서 단계별로 진행하면 됩니다.
그런데.. 핵심 튜토리얼의 후반부로 갈수록 수정된 내용이 빠져 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최종 코드를 보며 빠진 부분을 찾아가며 하긴 했는데
오늘 파트 6 : Performance and Normalizing Data 부분을 하다가 에러 메세지도 나오지 않는 상황을 맞딱뜨려서
오랜 시간을 삽질했습니다.
<PostAuthor> 컴포넌트도 수정을 해 주어야 했는데, 해당 부분은 코드가 없어 그냥 넘어가버려서 발생한 오류였습니다 ㅠㅠ
에러메세지라도 뜨면 바로 알았을텐데..에러 메세지가 뜨지 않아 한참을 찾았습니다.
에러 메세지가 이렇게나 중요합니다.
각 파트 마다 변경 사항을 깃허브 레파지토리의 커밋 변경 내용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커밋 내용을 보고 빠진 부분을 찾아 수정하였더니 오류가 해결 되었습니다.
해당 repo의 브랜치중 tutorial-steps 브랜치로 변경합니다.
커밋 내용들을 확인합니다.
학습중인 부분을 찾아 변경 내용을 확인합니다.
이 커밋에서 변경된 파일은 3개인데 문서에서는 2개의 변경사항에 대한 코드만 있어서 1개를 빼먹어버렸습니다.
변경 내용을 찾아서 수정해 주니 바로 해결이 되었습니다.
튜토리얼의 초반부는 이런 부분이 없어서 커밋 내용을 찾아볼 생각을 못 했는데
미리 알았더라면 시간을 많이 아꼈을 것 같습니다 ㅠㅠ
공식문서로 리덕스 공부하시는 분들
문서 따라했는데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꼭 커밋 기록을 확인 해 보세요 !